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고 인증 기준을 지켜 재배한 농산물에 대한 인증입니다. 다년생 작물일 경우 3년, 그 외의 작물은 2년 이상 유기합성농약과 화학비료를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유기수산물
김, 굴, 홍합, 미역, 다시마 등 성장촉진제, 항생제, 활성처리제, 호르몬제 등을 사용하지 않고 생산하거나 유기적인 방법으로 양식한 수산물에 대한 인증입니다.
유기축산물
유기농산물의 재배 생산 기준에 맞게 생산한 유기사료를 먹고 자란 축산물에 대한 인증입니다.
유기가공식품
유기농 원재료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가공식품에 부여하는 인증입니다. 원재료 가운데 유기농 농축수산물이 차지하는 비중이 95%를 넘어야하며 제조공정과 포장방식 위생관리 등의 기준을 만족해야합니다.
EU 유기농 인증
유기농 원료를 95% 이상 사용하고 유전자 재조합 식품을 함유하지 않은 가공식품에 대해 EU가 부여하는 인증입니다
USDA 인증
재배 과정에서 최소 3년간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물, 소금을 제외한 원료의 95% 이상이 유기농 성분인 제품에 대해 미국 농무부가 부여하는 인증입니다.
무농약농산물
재배 과정에서 유기합성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화학비료는 농촌진흥청장, 농업기술원장이 권장하는 석 분량의 3/1이하만 사용해 재배한 농산물에 대하여 인증합니다. 유전자변형농산물 종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무항생제축산물
항생제, 합성 향균 제, 호르몬제가 포함되지 않은 사료를 급여하면서 인증 기준을 지켜 생산한 축산물에 인증합니다.
동물복지인증
높은 수준의 동물복지 기준에 따라 인도적으로 동물을 사육하는 소, 돼지, 닭, 오리 농장 등에 대해 국가에서 인증하고 인증 농장에서 생산되는 축산물에 대해 부여하는 인증입니다.
한국비건인증
동물 유래 원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제조 과정에서 교차 오염이 없으며 동물 실험을 하지 않는 식품과 생활용품에 부여하는 인증입니다.
The Vegan Society
영국 채식주의 비영리단체’비건 소사이어티(The Vegan Society)’가 100% 식물성 및 유기농 원재료만 사용하며 제조 과정에서 동물실험을 하지 않는 제품에 부여하는 비건 인증입니다.
대한민국로하스인증
건강, 환경, 사회적 책임과 지속 가능한 소비에 높은 가치를 두는 로하스(LOHAS) 원칙에 따라 노력하고 성과를 보인 제품, 서비스, 공간에 대해 한국 표준협회가 인증하는 제도입니다.
오코텍스 스탠다드 100
국제 친환경 섬유 인증기관 오코텍스(OEKO-TEX)가 섬유, 실, 원재료 등의 제품에 대해 알레르기 유발 염료, 중금속, 휘발성균 등 100여 가지 유해 성분 테스트를 거쳐 친환경 등급을 부여하는 제도입니다.
GOTS 유기농 인증
국제유기농 섬유 기구 GOTS가 유기농 섬유를 70% 이상 함유한 직물 제품에 부여하는 인증입니다.
OCS 유기농 인증
제품에 포함된 유기농 재료의 확인을 위해 만들어진 국제 인증의 기준. 네덜란드 컨트롤 유니언이5~100%의 유기농 원료를 사용한 제품에 부여하는 인증입니다.
KC 인증
어린이 제품, 생활용품, 전기용품이 해당 제품의 안전요건을 만족하는지 안전성을 확인한 후 출시하도록 의무화하는 안전관리 제도입니다.
HACCP 인증
식품 원재료 생산에서부터 최종 소비자가 섭취하기 전까지 각 단계에서 생물학적, 화학적, 물리적 위해 요소가 해당 식품에 혼입되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생관리 시스템입니다.
GMP 시설인증
Good Manufacturing Practice의 약칭으로 우수건강기능식품 제조기준입니다. 원료 보관부터, 제조 시설, 품질관리 시설까지 제품의 전 공정에 걸쳐 법적으로 승인된 규격과 기준을 준수해야 합니다. 항상 특정기준의 제품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생산체제를 확립할 수 있는 제도를 의미합니다.
GAP 인증
Good Agricultural Practices의 약칭으로 농산물우수관리 인증 제도입니다. 농산물의 생산부터 수확,관리,유통,판매까지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 물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전하게 관리한 상품에 대한 인증입니다.
축산물이력제
소, 돼지, 닭, 오리, 계란 등의 출생 등 사육과 축산물의 생산부터 판매까지의 정보를 기록, 관리합니다. 위생, 안전의 문제를 사전에 막고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 그 이력을 추적해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수산물이력제
어장에서 식탁에 이르기까지 수산물의 이력정보를 기록, 관리합니다. 상품에 표시된 이력번호를 입력하면 수산물의 이력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